지역 창업 정보

2025년 로컬 소도시 창업 지원 제도 분석: 정선·고성·남해군 중심으로 보는 정부 정책 활용법

idea1889 2025. 7. 3. 14:38

대도시 중심의 창업 열풍이 점차 지방으로 확산되고 있다. 특히 인구 감소와 고령화 문제를 겪는 소도시들은 다양한 창업 유치 정책을 통해 청년 인구를 확보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2025년 현재, 지방정부와 중앙정부는 다양한 재정 지원, 공간 제공, 멘토링 프로그램 등을 마련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도들은 대도시에 비해 경쟁이 적고 혜택이 집중되어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번 글에서는 정선군, 고성군, 남해군 등 대표적인 소도시의 창업 지원 제도를 중심으로 실질적인 분석을 제공하며, 실제 창업을 준비 중인 이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전달한다.

2025년 로컬 소도시 창업 지원 제도 분석

1. 왜 로컬 소도시 창업이 주목받는가?

최근 몇 년 사이 ‘탈서울’ 현상이 본격화되면서 지방에서 창업을 꿈꾸는 청년층이 증가했다. 정부는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여 소도시를 중심으로 한 맞춤형 창업 정책을 집중 지원하고 있다. 특히 주거, 교육, 재정, 공간 제공 등 전방위적인 지원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서울이나 수도권에서 창업할 때보다 부담이 훨씬 적다. 그에 따라 정선군, 고성군, 남해군 등은 '창업 친화형 도시'로 부상하고 있다.


2. 정선군 창업 지원 제도: 공간 + 재정 + 지역 밀착형 프로그램

정선군은 2024년부터 ‘청년창업 장려 패키지’를 도입하여 로컬 창업에 최적화된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다. 이 지역은 관광 기반이 강하기 때문에, 여행 연계형 창업(게스트하우스, 로컬 푸드, 체험형 카페 등)에 특히 유리하다.

  • 정선군 창업 인큐베이터 센터: 사무 공간 무상 제공, 6개월간 임대료 전액 지원
  • 청년 정착 지원금: 창업 후 1년 이상 거주 시 최대 1,200만 원 지급
  • 멘토링 및 시제품 개발비 지원: 강원도청과 협력하여 시제품 비용 최대 700만 원까지 보조

또한, 해당 지역 주민과의 갈등을 줄이기 위한 ‘지역 주민 네트워킹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되어, 실제 창업 이후 생존율이 높은 편이다.


3. 고성군 창업 정책: 디지털 기반 창업에 초점

경남 고성군은 타지역과 차별화된 방식으로 ‘디지털 창업’을 유도하고 있다. 인터넷 기반 창업, 1인 미디어, 온라인 교육 콘텐츠 제작 등 비대면 사업에 유리한 구조를 제공한다.

  • 디지털 창업 스타트 패키지: 카페24, 스마트스토어 연동 지원, 홈페이지 제작비 80% 보조
  • 원격근무형 사무실 지원: 창업자가 필요로 하는 장비를 갖춘 사무공간을 1년간 무상 제공
  • 소도시 콘텐츠 창작 지원사업: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플랫폼 기반 브랜딩 교육 운영

고성군은 특히 40대 이상의 창업자도 적극 지원하고 있어, 중장년층의 재창업 기회로도 활용 가능하다.


4. 남해군: 귀촌+창업 융합 정책의 성공 사례

남해군은 ‘귀촌’과 ‘창업’을 결합한 정책을 일찍부터 추진한 대표적인 지역이다. 특히 귀촌을 통해 정착한 뒤, 지역 자원을 활용한 로컬 창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생계와 자아실현을 동시에 추구하는 이들에게 매력적인 지역이다.

  • 로컬 비즈니스 창업 아카데미 운영: 지역 밀착형 비즈니스 모델 발굴 교육 제공
  • 남해 청년 창업마을: 유휴 공간을 리모델링한 창업 마을로, 초기 창업자에게 주거·사무공간 통합 지원
  • 지역농산물 연계 창업 장려금: 지역 특산물(마늘, 시금치 등) 가공 및 판매 사업자에 최대 2,000만 원 보조금 지원

남해군은 특히 ‘지속 가능한 창업’을 키워드로 삼고 있어, 단기 자금지원이 아닌 장기 정착형 창업 정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5. 실제 창업자 사례를 통해 보는 장단점

2024년 말 기준, 정선에서 게스트하우스를 창업한 김진수 씨(32세)는 “서울에서 카페를 차리는 것보다 초기비용이 1/3 이하로 줄었고,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프로그램 덕분에 지역과의 마찰도 없었다”고 말했다.

반면, 고성에서 1인 콘텐츠 회사를 창업한 이선경 씨(41세)는 “장비와 인프라는 좋았지만, 디지털 마케팅 교육의 깊이가 다소 아쉬웠다”는 의견을 덧붙였다. 이러한 피드백은 정책이 실제 창업자에게 어떻게 체감되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결론: 창업은 ‘장소 선택’이 반이다

2025년 현재, 로컬 소도시의 창업 지원 정책은 단순한 일회성 지원금을 넘어 장기 정착 + 커뮤니티 형성 + 인프라 제공까지 종합적으로 고려되고 있다. 특히 대도시에서는 기대하기 어려운 고밀도의 맞춤형 혜택이 많기 때문에, 단순히 비용 절감 측면을 넘어 창업 생존율을 높이는 전략으로써 소도시 창업이 매우 유효하다.

정부와 지자체의 공식 사이트 외에도, 실제 지역 창업자 커뮤니티나 사전 교육 프로그램에 미리 참여하는 것이 정책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팁이다. 지금이야말로 지방에서 창업의 기회를 찾을 수 있는 ‘골든 타임’이라 할 수 있다.